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전원을 발로 껐다 켜면 생기는 코드 버그

조제복 2025. 6. 6.
반응형

컴퓨터 전원을 발로 껐다 켜는 식의 비정상적인 전원 차단은 소프트웨어 코드 차원에서 버그로 이어지는 여러 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 버그'란, 단순히 전원 꺼짐 그 자체가 아니라, 이로 인해 운영체제, 파일 시스템, 메모리 상태, 혹은 캐시 정보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는 버그를 의미합니다. 다음은 그 구체적인 내용입니다.


비정상 전원 종료가 코드 버그를 유발하는 메커니즘

1. 메모리 캐시/버퍼 미반영 → 데이터 손상

  • 많은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이벤트가 발생할 때 디스크에 씁니다.
  • 이 상태에서 강제로 전원이 차단되면, 디스크에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가 유실되고, 다음 실행 시 **이상한 상태(inconsistent state)**로 진입합니다.

💡 예: 설정 파일이 중간에 끊겨서 JSON 파싱 에러, SQLite 파일이 손상되어 쿼리 실패 등


2. 파일 시스템 손상 → 코드 불안정

  • ext4, NTFS, APFS 등 파일 시스템은 복잡한 트리 구조와 메타데이터를 갖고 있습니다. 전원 차단 시 이 구조가 망가질 수 있고,
    • 파일이 존재하지만 읽을 수 없음
    • 파일 사이즈 mismatch
    • 파일이 있지만 내부 데이터는 0으로 초기화됨
  • 이로 인해 코드 내 파일 열기 / 파싱 단계에서 예기치 못한 예외가 발생합니다.

3. DB 트랜잭션 미완료 → 데이터 무결성 위반

  • SQLite, MySQL, PostgreSQL 같은 DB는 트랜잭션 도중 디스크 쓰기 중단되면, 무결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 전원이 꺼지면서 COMMIT이 완료되지 못하고, WAL 파일만 남는 경우, 다음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이 DB 일관성 오류로 중단됩니다.

예:

sqlite3.DatabaseError: database disk image is malformed

4. 코드 캐시 또는 컴파일 캐시 손상

  • Python의 .pyc, Node.js의 캐시 파일, Java의 .class 파일 등이 컴파일 도중 중단되면,
    • 다음 실행 시 캐시 파일이 존재하지만 손상되어 실행 실패
    • 모듈 임포트 중단, 예외 발생

예:

ImportError: bad magic number in .pyc file

5. 상태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불일치

  • 상태를 저장하는 앱 (예: IDE, 게임, 크롬, VSCode 등)은 종료 시 last session을 저장합니다.
  • 전원 차단으로 상태 저장이 누락되면,
    • 다음 실행 시 ‘예상치 못한 종료’ 경고
    • 프로젝트 로딩 실패
    • 비정상 동작 (열리지 않는 탭, 깨진 설정 등)

6. 저수준 OS 또는 라이브러리 단 에러

  • 특히 리눅스에서 journal이 손상되거나 systemd 서비스 설정이 꼬이면, 부팅조차 되지 않거나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ailed to start Journal Service
Systemd: Unit xyz.service entered failed state

실무에서 발생하는 사례 정리

상황 발생 버그 예시 원인

JSON 설정파일 저장 중 전원 차단 파싱 오류로 앱 실행 안됨 파일이 중간에 끊김
DB 작업 중 전원 차단 데이터 중복/누락, 무결성 위반 트랜잭션 미완료
웹 서버 중단 후 재기동 안됨 포트 점유, lock file 남음 소켓/세션이 미정리 상태
파이썬 모듈 실행 실패 bad magic number .pyc 손상
캐시가 깨져 웹페이지 비정상 동작 스타일, JS 동작 오류 캐시된 리소스 불완전

예방법 및 해결 팁

  1. 코드 상의 방어적 프로그래밍
    • JSON, YAML, XML 등 파싱 시 예외 처리 철저히
    • 설정파일 저장 시 atomic write 방식 사용 (임시파일 → rename)
  2. DB 사용 시
    • 트랜잭션 처리 시 WAL 모드 활성화
    • 정기적 백업 및 복구 스크립트 마련
  3. 파일 시스템 보호
    • journaling 파일시스템 사용 (ext4, NTFS 등)
    • 정기적으로 chkdsk, fsck 수행
  4. 전원보호 장치 활용
    • 데스크탑은 UPS 장착 시 예기치 않은 종료 예방
  5. 코드 빌드시 캐시 클리어 자동화
    • 파이썬 등은 실행 전 .pyc 삭제 스크립트 포함

코드를 아무리 잘 짜도, 물리적 충격(발로 끄기, 정전) 앞에서는 무방비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불안정 상황을 코드적으로 감지하고, 복구하며, 재시도 로직을 마련해두는 것이 진정한 백엔드 실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버그를 잡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망가져도 버틸 수 있는 코드를 짜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그 첫걸음이 바로 ‘비정상 종료를 가정한 설계’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