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시세 1돈 팔때 가격 - 2025년 10월 27일 기준

오늘 글은 “지금 당장 팔면 얼마를 손에 쥐게 되는가”에 초점을 맞춥니다. 날짜는 2025-10-27, 대상은 순금(24K) 1돈 기준의 매입가예요. 여기에 18K·14K 보유자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환산표, 수수료/공임/감가 포인트, 발품 전략과 사기 예방 체크리스트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글을 다 읽으면, 시세가 출렁여도 스스로 가격을 계산하고, 유리한 매장을 골라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 기준 핵심 수치 한눈에
- 순금(24K) 1돈 매입가: 846,000원
- 18K 1돈 참고가: 720,000원
- 14K 1돈 참고가: 529,200원
위 수치는 2025-10-27 국내 매입 시세를 기준으로 정리한 값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매장 수수료·형태(제품/스크랩)·중량 오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이 글 아래쪽의 “실전 계산법”으로 내 케이스에 맞게 즉시 보정해 보세요.
1돈을 정확히 이해하기: 단위·순도·환산
1) ‘돈’과 중량
- 1돈 = 3.75g(한국 귀금속 관행 단위)
- 국제 시세는 트로이온스(31.1035g) 기준이지만, 국내 매입은 돈/그램 기준으로 환산됩니다.
2) 순도별 환산(핵심 공식)
- 24K(순금) = 함금률 99.9% 전후
- 18K ≈ 75%, 14K ≈ 58.5%
- 순금 등가 무게(g) = 보유 금 중량(g) × 순도(%)
- 이론 매입가 = 순금 등가 무게(g) × 당일 순금 g당 매입가
같은 1돈이라도, 24K/18K/14K는 실제 금 함량이 다르니 같은 돈(3.75g) 기준 단가가 다르게 나옵니다. 오늘 값(18K 1돈 72만 / 14K 1돈 52.92만)은 이 순도차를 반영한 참고치예요.
실전: 내 금을 오늘 팔면 얼마? (3스텝 계산)
아래 3단계만 따르면 시세 변동이 있어도 스스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Step 1. 내 보유 금의 순도와 중량 확정
- 제품 각인(“AU750, 18K, 14K” 등)을 확인하고, "저울(g)"로 중량을 잽니다.
- 도금/메달/보석 세팅은 순금 무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분리 후 계산).
Step 2. 순금 등가 무게로 변환
- 예: 18K 반지 7.50g → 순금 등가 = 7.50 × 0.75 = 5.625g
Step 3. 오늘 g당 매입가 적용
- 오늘 24K 1돈(3.75g) 매입가가 846,000원이므로,
 g당 매입가 ≈ 846,000 ÷ 3.75 = 225,600원/g
- 위 g단가를 순금 등가 무게에 곱합니다.
- 18K 예시(5.625g) → 5.625 × 225,600 = 1,268,?
- 정확 계산: 225,600 × 5 = 1,128,000
- 225,600 × 0.625(= 225,600 × 5/8) = 225,600 × 0.625 = 141,000
 → 1,269,000원(이론값)
 
- 225,600 × 0.625(= 225,600 × 5/8) = 225,600 × 0.625 = 141,000
 
- 정확 계산: 225,600 × 5 = 1,128,000
 
- 18K 예시(5.625g) → 5.625 × 225,600 = 1,268,?
주의: 실제 수령액은 매장 수수료(보통 g당 몇 천원~%), 제품 형태(스크랩/제품), 세팅 분리 비용 등에 의해 조정됩니다. 이론값에서 -0.5% ~ -2% 수준의 스프레드를 감안해 보세요.
왜 매장마다 다른가? 가격차의 진짜 이유
1) 스프레드 구조
- 매입가(고객이 받는 값)와 매도가(매장이 파는 값) 사이에는 스프레드가 있습니다.
- 동네 귀금속점은 빠른 현금화·소량 거래에 강점이 있지만 스프레드가 다소 넓을 수 있습니다.
- 대량 매입처·정유/제련 연계점은 단가는 유리한 대신 접근성/대기/서류 등이 요구될 수 있어요.
2) 제품/스크랩 차이
- **제품 상태(브랜드, 디자인)**의 가치는 보통 중고 재판매가 가능한 루트에서만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 스크랩(재용해) 취급이면 순금 등가 무게만 인정되어 브랜드 가치는 반영되지 않음이 일반적입니다.
3) 즉시 현금 vs. 송금
- 현금 즉시지급을 원하면 추가 공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당일 송금은 단가를 더 잘 주는 곳도 있어요.
금 거래소에서 금을 거래해 보세요. 또는 증권사를 통해 금 거래가 가능합니다.
오늘 같은 날, 가격을 더 잘 받는 7가지 요령
- g단가를 먼저 묻기: “오늘 24K g당 매입가가 얼마인가요?”를 기본으로.
- 순도·중량을 내 기준으로 재확인: 계산기를 보여달라 하고, 등가 무게 → 단가 → 합계 순서로 확인.
- 세팅 분리 여부: 보석·부품 분리 비용을 사전에 합의(정액/중량 기준).
- 수수료 구조 명확화: “g당 공제/정률 수수료/고정 수수료” 중 어떤 형태인지 확인.
- 두 곳 이상 견적: 동일 시점·동일 조건으로 최소 2~3곳 비교.
- 현금·송금 옵션: 지급 방식별 단가 차이가 있는지 체크.
- 신분증·영수증: 거래 명세서(중량·단가·총액·날짜)를 꼭 받아 보관.
18K·14K 보유자를 위한 퀵 환산표 (2025-10-27 기준)
- 오늘 24K 1돈 매입가 = 846,000원 → g당 225,600원
- 18K(75%) 1돈: 3.75g × 0.75 × 225,600 ≈ 635,?
- 정확 계산: 225,600 × 2.8125(= 3.75×0.75)
- 225,600 × 2 = 451,200
- 
- 225,600 × 0.8125 (= 225,600 × 13/16 = 183,? )
 
- 225,600 × 13 = 2,932,800 → ÷16 = 183,300
- 합계 634,500원(이론값)
- ※ 상단 “참고가 720,000원”은 일부 매장/형태 기준의 제품 프리미엄/수수료 반영값일 수 있어요. 스크랩 취급이면 이론값에 더 근접합니다.
 
- 14K(58.5%) 1돈: 3.75g × 0.585 × 225,600
- 3.75×0.585 = 2.19375g
- 225,600 × 2.19375
- 225,600 × 2 = 451,200
- 
- 225,600 × 0.19375 (= 225,600 × 31/160)
 
- 225,600 × 31 = 6,? → 6,? ÷160 = 약 43,700
 
- 합계 494,900원 전후(이론값)
- ※ 상단 “참고가 529,200원”은 일부 매장 표시가/수수료 반영 차이일 수 있습니다.
 
포인트: 스크랩 기준 이론값은 순도만 반영한 순금환산가이고, **매장 ‘참고가’**는 수수료/시장관행까지 들어간 표시가에 가깝습니다. 실제 거래는 이 둘 사이에서 결정된다고 이해하면 쉬워요.
Q&A: 거래 직전 자주 나오는 질문 7가지
Q1. 제품(브랜드 금)인데, 순금 환산으로만 치나요?
A. 중고 재판매 루트가 있는 매장이라면 브랜드·디자인 프리미엄을 일부 반영해 줍니다. 다만 대부분 스크랩 취급이면 순금 등가 무게만 인정돼요.
Q2. 세팅이 많아 보석 무게가 꽤 나가요. 어떻게 계산하나요?
A. 보석·합금 부품은 보통 제외입니다. 분리 비용·분리 방식(일괄/가중)을 반드시 사전 합의하세요.
Q3. 현금이 필요해서 바로 받고 싶은데, 단가가 깎이나요?
A. 일부 매장은 즉시 현금에 소액 공제를 붙입니다. 당일 송금 옵션과 단가를 비교해 보세요.
Q4. 반지/목걸이처럼 형태 차이가 단가에 영향을 주나요?
A. 형태 자체보다 순도·중량·스크랩 여부가 핵심입니다. 다만 세팅 분리 난이도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어요.
Q5. 중량을 소수점까지 따지나요?
A. 네. 보통 0.01g 단위까지 측정합니다. 저울 눈금·검수 과정을 눈앞에서 확인하세요.
Q6. 부가세는 어떻게 되나요?
A. 중고 매입은 보통 부가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개인 매도 기준). 다만 사업자 거래·특정 형태는 달라질 수 있으니, 영수증 항목을 확인하세요.
Q7. 오늘보다 내일이 나을까요?
A. 금값은 국제 금 시세 × 환율에 좌우됩니다. 일시적 급등/급락이 부담되면 분할 매도로 평균단가를 관리하세요.
현장 체크리스트(프린트해 가면 편해요)
- 오늘 24K g당 매입가 확인(전화 2곳 이상)
- 순도·중량 내 저울로 1차 확인
- 세팅 분리 비용·방식 사전 합의
- 수수료 구조(g당/정률/고정) 명확화
- 현금/송금 단가 차이 확인
- 거래 명세서(날짜·중량·단가·총액) 수령
- 재방문 시 우대 단가 여부 체크
한 단락 정리
2025-10-27 기준, 24K 1돈 매입가 846,000원을 중심으로 **g당 단가(225,600원)**만 기억하세요. 그다음은 (1) 내 금의 순도·중량 → (2) 순금 등가 무게 → (3) g단가 곱하기의 3스텝이면 끝입니다. 매장마다 수수료·스크랩/제품 처리가 달라 실제 수령액이 바뀌니, 두세 곳 견적 비교와 명확한 수수료 합의가 체감 수익을 좌우합니다. 오늘도 숫자에 강한 셀러가 1~2% 더 유리한 가격을 가져갑니다.
'트렌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레핀 1998 사이즈 어떻게 고를까? 실제 착용감,후기 패턴을 한 번에 (0) | 2025.10.31 | 
|---|---|
| 샤크 무선청소기 에보파워 시스템 FIT+ · NEO+ IQ+ · STD+ 비교, 코스트코에서 사면 뭐가 좋을까? (1) | 2025.10.26 | 
| 비행기 기내 ‘적정 음주’ 가이드와 과음 시 탑승거부·제재·법규 총정리 (0) | 2025.10.24 | 
| 발편한 운동화 르무통 신발 후기모음 (2) | 2025.10.23 | 
| 금 시세 1돈 팔때 가격 - 2025년 10월 22일 기준 (0) | 2025.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