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련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이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의 핵심 법안 총정리

조제복 2025. 7. 28. 11:35
반응형


주제 소개 & 독자에게 줄 이득

미국에서 2025년 7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서명한 **Genius Act(정식 명칭: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사상 최초로 연방 차원의 명확한 규제 체계를 도입한 법이에요.
이 글에서는 ✅법안의 핵심 조항, ✅시장 및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 마케터·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인사이트를 한 번에 정리했답니다.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위한 핵심 포인트

1. 발행자(Permitted Issuer)의 엄격한 구분

  • 「支付용 스테이블코인(payment stablecoin)」은 연방·주·은행 허가를 획득한 발행사만 발행 가능
  • 외국 발행사도 본국 규제가 유사함을 재무부 장관이 인정한 경우, OCC 등록 후 미국서 발행 가능

2. 100% 담보 및 공개

  • 달러 또는 단기 미국 국채로 1:1 담보 유지 필수. 매월 준비금 구성 및 외부 감사를 공개 보고
  • 부실 시 보호받는 우선권 구조로 투자자 신뢰 확보

3. 소비자 보호·AML 규제 강화

  • 허위 광고 금지(정부 보증, FDIC 보험 등 주장 금지)
  • BSA(은행비밀법) 적용 및 자금세탁·제재 컴플라이언스 의무

4. 증권 법 적용 제외

  • "支付용 스테이블코인"은 증권법·상품법·투자자 보호법에서 제외되어 SEC·CFTC 관할에서 벗어남

5. 시행 시점

  • 최종 규정 발표 후 120일 또는 18개월 중 먼저 도래 시 발효

시장·이용자 인사이트

🚀 시장 확장 및 채택 촉진

  • 가맹점·은행·물류 기업들이 달러 기반 디지털 결제 플랫폼 도입 가능성↑
  • Circle(USDC), Ripple, Coinbase, Visa, Mastercard 등 주요 플레이어의 성장 기대감

⚖️ 리스크와 규제 부담

  • 은행·연준의 자체 승인 기준이 보수적이며, 39건 중 1건 승인률에 불과
  • 준비금 투명화 의무와 AML·제재 컴플라이언스로 운영 비용↑.

한국 기업·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결제 서비스·핀테크 기업은 “Genius Act 기준 충족” 전략 필요
  •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다국적 전자상거래·해외 송금에서 비용 절감 및 정산 속도 향상에 영향
  • 한국 규제 당국 입장에서도 미국·유럽 등과의 조화된 규제 틀 마련에 참고 사례가 될 전망

Q&A

Q1. Genius Act 이후 미국 내 모든 스테이블코인 사용 가능해지나요?
A. 발행·판매는 오직 허가된 발행사에 한해 가능하며, 일반인 간 개인 지갑 전송 등은 예외로 허용됩니다

Q2. 외국(한국) 발행 스테이블코인이 미국서 유통되려면?
A. 본국 규제가 미국 기준에 준한다고 인정받고 OCC에 등록하며, 미국 내 준비금 보관 필요해요

Q3. 시행까지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A. 법안 서명일(2025년 7월 18일) 기준, 규정 발표 후 120일 이내 또는 18개월 내 시행될 예정이에요


결론 요약

Genius Act는

  • ①엄격한 발행자 기준,
  • ②100% 담보·투명성,
  • ③자금세탁 차단,
  • ④증권법 제외를 핵심으로 하는
    “미국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의 출발점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싶다면, 지준·컴플라이언스 기반 완전 대응, OCC·연준 승인 전략이 필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